GA의 활용도를 높이려면 단연 리포트 분석이 중요하고, 리포트에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.
기존 타 로그분석 솔루션의 경우 2차원적인 분석만이 가능 했다면, GA의 경우 세분화 된 디멘션을 통해서
원하는 인사이트, 혹은 몰랐던 인사이트들을 도출 할 수 있음.
데이터를 통째로 보는 것과 디멘션( 측정기준 : Dimension ) 으로 나누어 보는 것은 2D로 보느냐, 3D로 보느냐의 차이.
즉,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방문자 수 데이터도 그 페이지 방문자 중 신규 방문자와 재 방문자의 비율, 방문자의 지역에 따른 방문 구분 등의 다양한 구분에 의해 분석해 보아야
진정한 인사이트를 발굴할 수 있음.
GA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멘션 (Dimension)은 약 110가지가 존재하며, 아래와 같다
대분류 |
측정기준 (디멘션) |
설명 |
광고 |
검색어 검색 유형 | 확장검색, 구문검색, 일치검색 등 검색어 검색 유형 |
검색어 단어수 | 검색어 글자 수 | |
게재위치 도메인 | 광고 게재 도매인 | |
게재위치 유형 | 자동 게재위치 혹은 선택 게재위치 (GDN) | |
게재위치 URL | 광고 게재 세부 URL 주소 | |
계정 | 애드워즈 계정별 구분 | |
광고 게재 네트워크 | 구글 및 기타 검색엔진 및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| |
광고 슬롯 | 광고 소재 위치 (GDN 만 가능) | |
광고 슬록 게재순위 | 애드워즈 광고가 게재된 게재순위 (구글 검색노출 순위) | |
광고 콘텐츠 | 각 애드워즈 광고와 태그가 추가된 캠페인에서 사용된 utm_content 태그의 첫 행 | |
광고 형식 | 소재의 형태, 이미지, 동영상, 플래시 , 텍스트로 구분 | |
광고그룹 | 애드워즈 광고 그룹 이름 | |
도착 URL | 애드워즈 광고 랜딩 URL | |
에드워즈 광고 ID | 애드워즈 광고 ID (고객번호) | |
일치 검색어 | 애드워드 검색에서 노출을 발생시킨 실제 검색어 | |
키워드 | 광고주 사이트에 유입되기 전 검색한 키워드 (유상,무상 포함) | |
타겟팅 유형 | 애드워즈 광고 타겟팅 기법 | |
표시 URL | 표시URL | |
TrueView 동영상 광고 | 구글 트루뷰 동영상 광고를 통한 유입 유/무 (YES = 트루뷰 / No = 트루뷰 외) | |
사용자 |
기기 카테고리 | 유입 된 디바이스 종류(데스크탑/모바일) |
관심도 카테고리(도달범위) | 인구통계를 통한 관심도별 구분 | |
구매 계획 사용자 세그먼트 | 인구통계를 통한 구매의도별 구분 | |
국가 | 접속자 국가 | |
네트워크 도메인 |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도메인 | |
대도시 | 접속자 지역을 주변 대도시로 구분 | |
대륙 | 접속자 지역을 대륙으로 구분 | |
도시 | 접속자 지역의 주변 도시로 구분 | |
도시ID | 도시ID 번호(뭔 기준인지는..) | |
마지막 세션 이후 경과일수 | 마지막 접속한 후 경과 일수 | |
모바일 입력 선택 도구 | 모바일 기기에서 유입했을 시 유입 방법 (터치 스크린 등) | |
모바일(테블릿 포함) | 모바일을 통해 접속한 유저 유/무 | |
브라우저 | 접속자 이용 브라우저 | |
브라우저 버전 | 접속자 이용 브라우저 버전 | |
사용자 버킷 | A/B 테스트와 리마케팅 목록의 분할을 허용하도록 임의로 할당된 사용자 태그입니다. 범위는 1~100 | |
사용자 유형 | 신규방문자 or 재방문자 구분 | |
서비스 제공업체 |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명 | |
성별 | 접속자의 성별 | |
세션 수 | 세션 수 기준으로 구분 | |
세션 시간 | 세션 시간별로 구분 (초 단위)로 구분 | |
언어 | 접속자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 | |
연령 | 접속자의 연령 | |
운영체제 | 접속자의 운영체제 종류 | |
운영체제 버전 | 접속자의 운영체제 버전 | |
자바 지원 | 접속자의 PC환경이 자바가 활성화된 유무 | |
지역 | 접속자의 지역 (도/특별/광역시 구분) | |
지역 ID | 지역ID번호 (무슨 기준인지..) | |
지역 ISO 코드 | 지역 ISO코드.. | |
플래시 버전 | 사용자 접속 환경의 플래시 설치 버전 | |
하위대륙 | 접속자의 지역을 대륙으로 구분 (동아시아, 서아시아 등) | |
하위대륙 코드 | 하위대륙 코드 번호 | |
화면 색상 | 사용자의 화면 색상 (16비트, 32비트 등) | |
화면 해상도 | 사용자의 접속 해상도 (1920*1080 등) | |
휴대기기 마케팅 이름 | 접속자의 휴대기기 기종명 | |
휴대기기 모델 | 접속자의 휴대기기 모델명 (SM-N900T 등) | |
휴대기기 브랜드 | 접속자의 휴대기기 제조사 | |
휴대기기 정보 | 접속자의 휴대기기 정보 (제조사+모델명+기종+기종 이미지) | |
소셜 |
공유 URL | 소셜 매체를 통해 공유된 URL (LP) |
소셜 네트워크 | 광고 혹은 게시물이 게시 된 소셜 미디어 | |
소셜 소스 | 소셜 네트워크와 동일한 개념 | |
소셜 소스 및 액션 | 소셜 매체 및 액션 (페이스북 좋아요 등) | |
소셜 소스 추천 | 소셜 매체에서 발생한 활동 인지 여부(소셜매체 접촉 여부) | |
소셜 액션 | 소셜 매체에서 발생한 액션 종류 (+1, 좋아요, 공유) | |
소셜 유형 | 소셜매체에 관심이 있는지 없는지 유무 (관심있음/관심없음) |
대분류 |
측정기준 (디멘션) |
설명 |
시간 |
날짜 | 접속 날짜 기준으로 구분 |
분 | 분 단위 기준으로 구분 | |
시간 | 시간 단위 기준으로 구분 | |
시간대 | 접속 년도+월+일+시간 (예:15년 10월 14일 19시 = 15101419) | |
연도 | 접속 년도 (예;2015) | |
요일 | 접속 요일을 숫자로 표기 (0 =일요일, 1=월요일 …) | |
요일 이름 | 접속 요일을 요일명으로 표기 (월 = Monday) | |
월 | 접속 월을 숫자로 표기 (15년 10월 접속 = 201510) | |
일 | 접속 일자를 숫자로 표기 (10월 21일 접속 = 21) | |
주(1년 기준) | 접속 주를 1년 기준으로 표기 (1년 총 주차 수를 기준) | |
ISO 연도 | 걍 년도.. | |
ISO 주(1년 기준) | 걍 1년 총 주차 중 접속 주차.. | |
ISO 주(ISO 연도 기준) | 이거도.. | |
전자상거래 |
거래 ID | 전자 상거래 거래ID (전자상거래 별도 설정 필요) |
거래까지 걸린 시간(일) | 전환까지 걸린 시간을 일단위로 표기 (전자상거래 별도 설정 필요) | |
거래로 이어지는 세션 | 거래까지 발생한 세션 (방문수) | |
행동 |
검색 도착 페이지 | 사이트 내에서 검색 후 살펴본 페이지 기준으로 구분 |
검색어 | 사이트 내에서 검색한 검색어 기준으로 구분 | |
도착 페이지 | 사이트 내에 도착한 페이지 기준으로 구분 | |
두 번째 페이지 | 사이트 내에 도착해서 다음으로 이동한 페이지 기준으로 구분 | |
맞춤 설정값 | 맞춤 세그먼트에 따른 구분 (별도 설정 필요) | |
방문 심도 | 방문자가 사이트 내에서 이동한 페이지 수 | |
방문 페이지 | 랜딩 페이지 (도착 페이지와 동일) | |
방문 화면 | 방문자가 앱에 들어올 떄 거친 페이지 | |
사이트 검색 상태 | 사이트내에서 검색 기능 사용 유/무 | |
사이트 검색 카테고리 | 사이트 내 방문자가 검색한 카테고리 | |
상세검색 키워드 | 사이트 내부에서 검색한 키워드 (=검색어 와 동일한 듯) | |
시작 페이지 | 사이트 방문자가 검색한 페이지 | |
앱 버전 | 사용하고 있는 앱의 버전 번호 | |
앱 설치 프로그램 ID | 접속한 앱의 이름 (앱스토어, 앱마켓 기준 앱 이름) | |
앱 이름 | 개발자가 정의한 앱의 이름 | |
앱 ID | 접속한 앱의 ID (앱스토어, 앱 마켓에서 지정한 앱의 ID) | |
이전 페이지 경로 | 사이트에 접속하기 이전 페이지 경로 | |
이탈 페이지 | 사이트 내에서 접속자가 이탈한 페이지URL을 기준으로 구분 | |
전체 추천자 | 트래픽을 추천한 URL (유입 전단계 사이트 URL) | |
종료 화면 | 방문자가 앱에서 이탈한 페이지 RUL 기준으로 구분 | |
호스트 이름 | 방문자가 유입된 대표 URL (예: www.kbmagiccardirect.co.kr) | |
화면 깊이 | 한 세션에서 조회한 화면의 수 | |
화면 이름: | 특정 앱 화면의 이름 | |
획득 |
매체 | 유입된 매체 , 일반적으로 유입 된 유형 + 과금형태 등(referral, organic, CPC, Search_CPT 등) |
소스 | 유입 된 소스, 일반적으로 유입 된 매체를 뜻 함 (google, daum 등) | |
소스/매체 | 유입 된 매체/소스를 동시에 구분 | |
추천 경로 | 유입에 기여한 소재 URL (버튼 배너를 통한 유입 = /click/img ) | |
트래픽 유형 | 사이트로 유입 된 유형 ( referral, direct, organic, paid 등) 매체 보다 더 포괄적인 의미 |
'GA_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애널리틱스 인증 (1) | 2015.11.17 |
---|---|
구글애널리틱스에서 GDN에 활용할 리마케팅 항목을 만들어보자 (2) | 2015.11.10 |
GA 목표설정 (0) | 2015.10.29 |
GA UTM 생성방법 및 빌더 (0) | 2015.10.28 |
Google Anaytics (GA)스터디 1차. 용어 정리 (2) | 2015.10.13 |